분류 전체보기 (198) 썸네일형 리스트형 교수학습모형 (4) : 협동학습모형(Cooperative Learning) 글의 순서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0. 교수학습모형 (0) : 프롤로그 1. 교수학습모형 (1) : 이해중심게임수업 2. 교수학습모형 (2) : 직접교수모형 3. 교수학습모형 (3) : 탐구수업모형 4. 교수학습모형 (4) : 협동학습모형 5. 교수학습모형 (5) : 스포츠교육모형 6. 교수학습모형 (6) : 하나로 수업모형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의 에필로그 각 포스팅의 내용이 길지 않습니다. 전체 내용을 읽길 추천합니다. 우리의 삶은 경쟁으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그 안을 들여다보면 경쟁이 내부의 협력에 기초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더 나은 성과를 위해 보이는 혹은 보이지 않는 경쟁과 협력의 상호작용을 지속한다. 체육은.. 교수학습모형 (3) : 탐구수업모형(Inquiry Based Learning/Inquiry Teaching) 글의 순서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0. 교수학습모형 (0) : 프롤로그 1. 교수학습모형 (1) : 이해중심게임수업 2. 교수학습모형 (2) : 직접교수모형 3. 교수학습모형 (3) : 탐구수업모형 4. 교수학습모형 (4) : 협동학습모형 5. 교수학습모형 (5) : 스포츠교육모형 6. 교수학습모형 (6) : 하나로 수업모형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의 에필로그 각 포스팅의 내용이 길지 않습니다. 전체 내용을 읽길 추천합니다. 체육을 바라보는 두 관점이 있다. 하나는 움직임의 학습이 육체를 단련하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효율적인 동작을 반사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는 관점이다. 다른 하나는 움직임의 학습이 실험을 통한 지식 발.. 교수학습모형 (2) : 직접교수모형(Direct Instructional Model/Direct Instruction) 글의 순서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0. 교수학습모형 (0) : 프롤로그 1. 교수학습모형 (1) : 이해중심게임수업 2. 교수학습모형 (2) : 직접교수모형 3. 교수학습모형 (3) : 탐구수업모형 4. 교수학습모형 (4) : 협동학습모형 5. 교수학습모형 (5) : 스포츠교육모형 6. 교수학습모형 (6) : 하나로 수업모형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의 에필로그 각 포스팅의 내용이 길지 않습니다. 전체 내용을 읽길 추천합니다. 학교를 제외하고, 스포츠나 댄스 등의 신체 활동을 가르치는 대부분의 기관이나 단체에서는 전체적인 수행에 필요한 여러 요소를 세분화하여 차례대로 가르친다. 가령 태권도장에서는 서기와 막기, 지르기와 발차기 등을 세.. 교수학습모형 (1) : 이해중심게임수업(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TGfU) 글의 순서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0. 교수학습모형 (0) : 프롤로그 1. 교수학습모형 (1) : 이해중심게임수업 2. 교수학습모형 (2) : 직접교수모형 3. 교수학습모형 (3) : 탐구수업모형 4. 교수학습모형 (4) : 협동학습모형 5. 교수학습모형 (5) : 스포츠교육모형 6. 교수학습모형 (6) : 하나로 수업모형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의 에필로그 각 포스팅의 내용이 길지 않습니다. 전체 내용을 읽길 추천합니다. 이 블로그에 방문하는 분들 중 상당수는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과 관련된 검색을 통해 유입된다. 실제로 방문객이 얼마 되지 않은 이 블로그에서 아주 오래 전에 쓰인 글(이해중심게임모형 이해하기)는 꽤 많은 조회수를 기.. 교수학습모형 (0) : 프롤로그 글의 순서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0. 교수학습모형 (0) : 프롤로그 1. 교수학습모형 (1) : 이해중심게임수업 2. 교수학습모형 (2) : 직접교수모형 3. 교수학습모형 (3) : 탐구수업모형 4. 교수학습모형 (4) : 협동학습모형 5. 교수학습모형 (5) : 스포츠교육모형 6. 교수학습모형 (6) : 하나로 수업모형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 -. 교수학습모형 (-) : 에필로그의 에필로그 각 포스팅의 내용이 길지 않습니다. 전체 내용을 읽길 추천합니다. 이번에는 '교수학습모형'이라는 주제로 일련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자 한다. 교수학습모형, 이른바 수업모형이라고도 불리는 이 개념은 대체로 수업의 흐름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나 세트, 모듈 정도로 해석된다. 교수학습.. 경험의 원리: 계속성과 상호작용 '점프볼'은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운동 시설 중 하나이다. 위에 매달린 공을 손바닥으로 치도록 만든 장치인데, 낮은 단계부터 높은 단계까지 차례대로 매달려 있다. 점프볼을 제대로 치려면 자신이 점프하여 도달할 수 있는 공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만약 점프볼의 경험을 1) 높게 뛴다. 2) 손바닥으로 공을 세게 타격한다. 3) 성공에 대한 성취감을 느낀다. 라고 한다면, 치려는 사람에게 맞는 높이의 공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너무 낮으면 하체의 근력을 충분히 사용해 뛰지 못하고, 쉬워서 성취감도 느끼기 어려울 것이다. 반면에 너무 높으면 근육의 수축을 느끼며 뛰어 오를 수 있지만, 타격도 못하고 성취감을 느끼기도 어려울 것이다. 즉, 높이가 적절하지 않으면 점프볼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것.. 무스카 모스턴의 교수 스타일(수업 스펙트럼) 3: 수업 스펙트럼을 적용한 사례 살펴보기 글의 순서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1. 무스카 모스턴의 교수 스타일(수업 스펙트럼) 1 : 수업 스펙트럼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미리 알아야 할 것들 2. 무스카 모스턴의 교수 스타일(수업 스펙트럼) 2 : 11가지 교수 스타일 이해하기 3. 무스카 모스턴의 교수 스타일(수업 스펙트럼) 3 : 수업 스펙트럼을 적용한 사례 살펴보기 (현재 글) 이전에 올린 두 글에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교수스타일이 수업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예시하고자 한다. 수업 스타일에 대한 오해 중 하나는 한 차시의 수업에 한 가지 수업 스타일만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첫 번째 글에서 언급했듯, 이것을 상호작용을 위한 모듈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그런 점에서 수업 스타일은 한 가지로 여러 차.. 무스카 모스턴의 교수 스타일(수업 스펙트럼) 2: 11가지 교수 스타일 이해하기 글의 순서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1. 무스카 모스턴의 교수 스타일(수업 스펙트럼) 1 : 수업 스펙트럼을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것들 2. 무스카 모스턴의 교수 스타일(수업 스펙트럼) 2 : 11가지 교수 스타일 이해하기 (현재 글) 3. 무스카 모스턴의 교수 스타일(수업 스펙트럼) 3 : 수업 스펙트럼을 적용한 사례 살펴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수업 스펙트럼에 있는 11가지 수업 스타일의 특징들을 간단히 살펴보겠다. A. 지시형 스타일 (모방) 활동 전 의사결정: T 활동 중 의사결정: T 활동 후 의사결정: T 교수학습의 초점: 모든 결정을 교사가 내리며, 짧은 시간 내에 주어진 과제를 정확하게 따라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 자극에 대한 즉각적 반응을 ..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