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육에 대하여/체육일반

(71)
[한선생의 체육잡설] 키즈런 Q&A : 쉽다,편하다,쓸모있다 2025년도 경기도교육청 체육건강교육과의 핵심 사업 중에 하나인 함께런(기지개 체조 + 키즈런)으로 일선 학교에서 다소 혼란이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함께런의 한 축인 키즈런과 관련해 교내 운영을 활성화하고 학교스포츠클럽 대회로 운영하는 권장안에 대해 여러 가지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이 사업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만, 단위학교 입장에서는 매우 좋은 기획이라는 점은 분명합니다 (https://betterthanever123.tistory.com/298) .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키즈런 활성화가 어떤 점에서 좋은 기획인지 체육교과전담교사나 체육업무 담당자의 입장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키즈런, 왜 활성화하고자 하는가? : 선생님들의 체육 수업 연구 부담을 경감하고, 학생들의 신체활..
[한선생의 체육잡설] 함께런, 그리고 키즈런은 과연 순항할 것인가 #오늘 오후 2시경, 수석교사실 체육부장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평택교육지원청에서 공문 하나가 도착했는데, 상의할 내용이 있다고 한다. 매년 진행되는 교육장배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출전 신청 관련 내용이었지만 올해 달라진 것은 '키즈런'의 도입이었다. 체육부장님과 스포츠강사님 사이에 키즈런에 대한 약간의 대화가 있었던 것 같은데, 이 일을 추진하는 문제에 대해 얼굴을 맞대고 의논을 하자는 것이었다. #지난 주 토요일, 경기학생스포츠센터 그날은 토요일이었다. 우리학교 스포츠강사님과 함께 키즈런과 기지개 체조로 구성된 ‘함께런 프로젝트’ 핵심요원 연수에 다녀왔다. 도교육청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프로젝트였고, 이 연수를 준비한 강사들은 이 사업이 경기도 전역에 확산되길 기대하며 열정적으로 연수를 진행하였다..
[한선생의 체육잡설] 놀이 만들기 수업 가끔은 뜻하지 않은 이유로 계획했던 수업을 하기 어려운 순간들이 있습니다. 체육을 가르치는 선생님들은 이런 상황을 자주 겪는데요. 아마도 공간이라는 매우 중요한 수업환경 요인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한된 실내 체육공간으로 인해 날씨라도 궂으면 잘 준비된 계획도 수포로 돌아가기 일쑤입니다. 저 역시 지난 화요일 비슷한 일을 겪었습니다. 비로 인해 급하게 수업 내용을 교실에서 할 수 있는 것으로 바꿔야 했습니다. 활동지도, 슬라이드도 아침에 급조로 만들어 써야 했어요. 문득 혼자 쓰기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이디어를 나눠봅니다. 사실 제가 수업을 하면서 쓸만한 아이디어가 나오고, 그것들을 자료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유를 잘 안하는 이유는 아이디어 중 핵심적인 일부나 대부분의 것을 가져다 쓰면서 자기..
[한선생의 체육잡설] 체육수업 첫 시간 안내 수업(오리엔테이션) 2024버전 체육수업 첫 시간 수업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자료를 업데이트 해 보았습니다. 슬라이드 원본에 사용한 이미지의 용량이 너무 커서 슬라이드 별로 그림 파일을 공유합니다. 목이 안 좋은 선생님도 계실 것 같아서 클로바더빙을 이용해 영상으로도 편집해보았습니다. 영상을 활용하시면서 중간중간 설명을 곁들이면 체육수업 첫 시간으로 손색 없을 것 같습니다. https://youtu.be/rFtNvbURouM   슬라이드 주요 내용: *체육수업의 의미*체육수업을 하면 좋은 점*체육수업에서 배우는 내용(영역)*체육수업의 흐름*체육수업을 위한 적절한 복장*체육수업 중 아플 때 해야 할 일*체육수업의 바람직한 태도*체육수업에서 지켜야 할 5가지 약속   이미지 출처: YBM체육교과서, AI생성 이미지더빙 툴: 네이버 클로바더빙..
[한선생의 체육잡설] 체육 수업 팀 나누기, 이렇게 해볼까요? 많은 선생님이 체육 수업에서 팀 나누기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 팀 나누기가 무엇이냐...팀 편성이나 모둠 나누기, 모둠 편성...여러 이름으로 부를 수 있을 것 같네요. 팀을 어떻게 나누느냐는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경쟁적인 활동에서 균형 잡힌 팀 편성은 학습 경험의 질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체육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공평함 인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학생들이 팀 편성으로 인해 갈등하고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면 대체로 그 여파는 교사가 감당하게 됩니다. 그런 점에서 처음부터 팀을 잘 나누는 것이 중요하죠. 오늘은 팀 편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경쟁적 활동에서 팀 나누기는 매우 중요하다. 팀 나누기의 중요성은 체육 교과 수업 이외의 여러 교과 수업에도 마찬가지로 체감..
학교체육발전을 위한 제언(2): 학교스포츠클럽-내포의 심화와 외연의 확장 지난 포스팅에서 저는 학교체육발전을 위한 제언의 주제로 PAPS에 대한 글을 쓴 바 있습니다.(https://betterthanever123.tistory.com/272)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번의 글에 이어서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저의 생각을 글로 적어보고자 합니다. 경기도교육청 학교체육정책자문단의 구성원으로 작성하였지만, 역시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이 의미 있게 반영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만, 적어도 지나온 방식을 검토하는데 필요한 한 가지 질문 정도는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필자가 알기로 학교스포츠클럽이라는 용어가 학교와 체육계에서 들리기 시작한 것은 2007년이다. 지금이 2024년이니 거의 20년이 되어간다. 상식적으로, 20년 정도 지속적으로 운영된 제도가 있다면 처음..
학교체육발전을 위한 제언(1): PAPS 확대 운영 기조에 대한 소고 올해 경기도교육청 학교체육정책자문단의 멤버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의 의견이 얼마나 반영될지, 그리고 제 개인적인 의견이 경기도의 각 학교에 도움이 될지 의문이 들지만, 머리를 맞대면 뭔가 좋은 수가 나올 것이며, 머리를 맞대서 좋은 수를 찾아내는 시작은 개인의 의견을 밝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포스팅은 그 첫 번째 의견입니다.    최근 PAPS의 운영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중고등학교야 이전부터 전 학년에 적용되고 있었겠지만, 초등의 경우 5,6학년만 필수로 운영했다. 한 동안 나이스 설정으로 4학년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하였고 거의 모든 학교가 4학년 학생 대상으로  PAPS를 운영하지 않았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4학년도 PAPS를 운영하도록 유인하고 있다. 이러한 기조..
[한선생의 체육잡설] 초등체육 무엇이든 물어보살! 안녕하세요. 한선생입니다. 그동안 바빴기 때문에 어쩌다 글을 올리는 것으로 그쳤지만, 수석교사가 된 이 시점에서 체육 수업에 진심인 분들께 보다 의미 있는 도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체육 수업으로 고민을 하는 분들에게 도움을 드릴 수 있는 가장 의미 있는 방법은 필요한 것에 딱 맞춰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가끔 블로그에 댓글로 질문을 하시는 예비교사분들,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있습니다. 댓글에 대해 댓글로 설명을 드리기도 하고, 때로는 관련 질문을 포스팅으로 장황하게 설명하기도 하고, 아주 드물게는 이메일이나 전화로 이야기를 나누기고 했습니다. 오늘 문득 오픈채팅으로 가볍게 물어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질문을 하시는 분들도 질문이 오픈된 공간에 남지 않아 부담스럽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