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에 대하여/교육 상념: 잡다한 생각들

[한선생의 체육잡설] 더 나은 체육수업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들이 체육교육과정을 실천하는데 활용되는 자료 중에 교과서와 지도서만큼 많이 사용되는 것도 없을 것이다. 물론 교과서와 지도서는 교육과정을 해석한 것에 지나지 않지만 국가수준의 체육교과 교육과정은 사실상 '청사진'도 못되고 '밑그림'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 정도로 국가수준 체육교과 교육과정은 체육수업을 준비하는데 구체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과정보다는 체육 교과서와 지도서가 현장에서 더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물론 교육과정 그 자체라고 할 수는 없겠으나 교과서가 쉽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집필진과 연구진의 뼈를 깎는 노력 끝에 만들어진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교과서 집필과정은 역대급으로 고통스러웠다. 멘붕도 그런 멘붕이 없답니다... 따라서 교과서와 지도서의 내용은 충분히 신뢰할만하다. 그러나 교육과정을 실천하는데에는 신뢰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정말로 실천 가능한가'도 중요하다. 학교마다, 학급마다 상황은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 나은 체육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학교 내지 학급 수준에서 체육교과 교육과정을 손볼 필요가 있다. 내가 앞장서서 해야 하고 우리 아이들이 따라와 할 수업이기 때문이다.

  먼저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자. 학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있는데 그 중 수업에 초점을 둔 두 가지를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재구성이란 교사가 스스로 전문성에 기초해 주어진 교육과정 목표를 효과적으로달성하기 위해 교육계획 및 교과서를 재조직화, 수정, 보완, 통합하는 등의 가. 교사가 스스로 전문성에 기초해 주어진 교육과정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교육계획 및 교과서를 재조직화, 수정, 보완, 통합하는 등의 활동이다(성열관, 이민정, 2009)."


"교육과정 재구성이란 국가, 지역, 학교 수준의 교육계획, 교육 내용, 교육방법 등을 교실에서 실행하기 전 또는 실행 중에 변경 또는 변형하는 구성적이고 해석적인 활동이다(강현석, 방기용, 2012)."

 

 


  그렇다면 교육과정 재구성은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가? 다음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유형(김평국, 2005)을 나타낸 것이다.


 전개 순서 변경
  여러 교과의 수업에서 계절이나 절기 등을 고려하여 단원의 순서를 바꾸거나 한 단원 내에서 전개 순서를 변경
 

 내용 생략
  학생의 수준에 맞추기 위하여 혹은 시간이 부족하여 혹은 교과 전문지식이나 기능이 부족하여 단원이나 단원 내의 일부 내용을 생략
 

 내용 추가
  단원 내용의 특성에 따라 내용을 추가

 

 내용 축약
  아동의 수준에 맞추기 위하여 교과서 내용을 축약

 

  대체
  학생의 수준이나 흥미, 실생활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단원 내용의 일부를 이외의 내용으로 대체

 

 타 교과와의 통합
  단원 내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른 교과의 학습 내용과 통합하여 지도

 

  위의 내용들은 방법적인 부분에 불과하다. 명확한 방법이 있다고 하더라도 교육과정에서 어떤 부분들이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 이해해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은 체육 수업을 위한 체육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해 고려할 교육과정 구성 요소(Schwab, 1969)를 살펴보자.

 

 학습자

  특기, 적성, 소질, 능력, 흥미 → 그 연령 대의 아이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신체적, 심리적 특성과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도 고려 대상이다.

 

 교사

  관심, 전문성 → 교사의 해당 교과에 대한 태도나 인식, 흥미 정도 뿐만아니라 체육교과에 대한 지식이나 운동 기능도 고려의 대상이다.


 교과

  교육 가능성 향상을 위한 계획, 전개, 평가 → 국가수준 교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나 실천 가능성, 교사가 인지한 국가수준교육과정의 타당성도 재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환경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심리학적 환경 →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은 교육부나 교육청의 규정 및 지시, 학교의 체육수업 환경, 각종 학교 계획 역시 포함된다.

 

 

  재구성한 교육과정은 수업의 결과로 인해 평가된다. 그렇다면 재구성한 교육과정은 어떻게 평가해야 하나? 교육과정을 실행한다는 것은 충실도와 상호적응, 생성의 개념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세 가지에 대해 평가함으로써 재구성한 체육교과 교육과정이 옳았는지를 판가름할 수 있을 것이다.


 충실도
  "특정 교육과정이 의도한 대로 얼마나 잘 실행되었는가?"
  "계획대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촉진하거나 방해를 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상호적응
  "교육과정 개발자에 의해 계획된 교육과정이 현장의 사람들에 의해 실행되고 조정되는가?"


생성
  "교육과정이 실행됨에 따라 교사와 학생의 교육 경험(개인적 성장)이 나타는가?"

 

 

  한 차시 더 나은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한 차시의 수업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듯 세심하게 고민해야 한다. 그러나 매 차시의 수업을 잘 하기 위해서는 그 차시 뿐만이 아니라 앞에 있는, 뒤에 따라오는 차시 수업을 염두해서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1년의 수업을 훌륭하게 해내기 위해서는 조감도를 그리듯 교과교육과정 전체를 살피고 어떻게 재구성을 해야 할 지 숙고해야 한다.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더 나은 체육수업을 위해 당장 중단원 재구성이라도 시작하자!

 

 

 

참고

강현석, 방기용(2012).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 요인 분석을 위한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24(1), 123-135.

성열관, 이민정(2009). 교육과정 일치도및 컨텐츠 맵의 유용성과 비판적 활용 방안. 교육과정연구, 27(3), 63-82.

최희정(2016).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육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Schwab, J, J(1969). The Practical: A language for curriculum. school review, 78, 1-23.

 

 

 

 

#체육수업 노하우 #한선생의 체육잡설 #체육수업 #체육교사 #체육전담교사 #스포츠강사 #초등학교체육 #체육교과 전담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