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되돌아보기(3월 2주차)
새학년도 활동으로 가장 먼저 시작한 것은 아이들을 관찰하는 것이었다. 아이들의 사진이 포함된 관찰기록지를 들고 아이들이 어떻게 체육수업에 참여하는지 짧은 단어로 한 명씩 기록해 봤다. 물론 피상적인 부분이겠고 아이들의 상세한 특성은 앞으로의 수업들 속에서 드러나겠지만 아이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이런 식으로라도 시작하고 싶었다.
.
5학년 학생 7학급의 첫주 운영은 이렇게 해보았다.
.
1차시 수업: 50미터 달리기와 플라잉디스크 피구
2차시 수업: 남녀 혼성 축구
3차시 수업: 모두가 줄잡이가 되어보는 긴줄넘기
..
.
1차시: 50미터 달리기와 플라잉디스크 피구
아이들의 기본적인 체력(순발력, 하체근력)과 달리기 동작, 피하기와 던지기 숙달 정도, 그리고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를 관찰하고자 했다. 플라잉디스크 피구는 닷지비가 없는 관계로 스폰지로 된 플라잉디스크를 이용하였다. 처음에는 모두가 경기장 안에 들어가 시작을 하여 맞으면 밖으로 나가 공격하게 하였다. 5분 동안 경기하여 시간 내에 맞춘 학생의 수가 점수가 된다.
.
.
2차시: 남녀 혼성축구
아이들의 활성정도와 공차기 동작의 숙달 정도, 그리고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를 관찰하고자 했다. 규칙은 여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변형했다.
- 골대에 슈팅하는 것은 여학생만 할 수 있다.
- 남학생은 여학생들의 위치 선정에 대한 조언과 패스에 집중한다.
- 남학생은 남학생의 공만 빼앗을 수 있다. 여학생의 공은 빼앗을 수 없다.
- 여학생은 남학생과 여학생의 공을 모두 빼앗을 수 있다.
- 공의 높이는 무릎 높이를 넘길 수 없다. 공이 높게 뜨면 공을 차는 기회를 상대편에게 넘긴다.
.
.
3차시: 모두가 줄잡이가 되어보는 긴줄넘기
아이들이 어떻게 의사소통하는지, 의사소통에 대한 참여와 협동 자세에 대해 관찰하려고 하였다. 먼저 위의 자료를 먼저 나누어주어 읽게 한 뒤 한 개 모둠을 시범조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 다음으로 아이들이 토의하고 실행하도록 하였다. 줄을 넘는 것은 한 명씩 들어가서 나오는 방식(더블덧치나 8자마라톤처럼)이 아니라 모두 들어가서 하도록 하였다.
게시물을 확인하는 아이들의 모습
.
토의하는 아이들의 모습
.
줄을 넘는 아이들의 모습
.
.
아이들을 관찰하겠다는 생각을 했을 뿐 이렇게 1시간 동안 모든 아이들을 관찰해본 경험이 없었다. 역시나 여러 가지 곤란한 점이 있었다. 적기가 너무 불편했다는 것과 어떠한 관점에서 관찰을 할 것인가가 문제였다. 어렴풋이 정한 관찰 관점이 가장 문제였다고 본다. 다음에 관찰한다면 관찰의 초점을 분명히 해야겠다. 아마도 다음 관찰의 초점은 이렇게 되지 않을까 싶다.
.
1.적극적/소극적
2.능동적/수동적
3.열심/태만
4.주도성, 흥미, 명랑, 소외, 활동회피, 배려 등
'체육에 대하여 > 수업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선생의 체육잡설] 수업되돌아보기(3월 4주차) : 도전활동-멀리던지기 4~5차시 + Extra (4) | 2016.03.27 |
---|---|
[한선생의 체육잡설] 수업되돌아보기(3월 3주차) : 도전활동-멀리던지기 1~3차시 (7) | 2016.03.19 |
[한선생의 체육잡설] 2015년 4월 15일(4학년 뜀틀) (0) | 2015.04.15 |
[한선생의 체육잡설] 2015년 4월 14일 (4학년 뜀틀) (0) | 2015.04.14 |
[한선생의 체육잡설] 2015년 4월 1일 (4학년 뒤구르기) (2) | 201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