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초등교육의 전문성 1 - 초등교육의 전문성 2 (현재 글) - 초등교육의 전문성 3 |
다른 교사들과 비교했을 때, 초등교사는 초등교사만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가?
아동들이 배워야 할 내용과 성인들이 배워야 할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관점은 전통적인 서양 심리학적 관점과 서로 통하는 부분이 있다. 전통적인 서양 심리학에서는 아동을 성인과 동일한 하나의 인격체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는 교육받은 성인을 기준으로 하여 그에 도달하기 위한 내용들로 학습내용을 결정하는, 앞서 이야기한 역차적교육의 근거가 되는 생각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서양 심리학에 도전하여 피아제는 '아동은 성인의 축소판'이 아니며, 그가 주장한 네 단계의 발단단계에서 볼 수 있는 각 시기의 사람들은 질적으로 서로 다른 인지구조를 갖는다고 주장하였다. 피아제의 이론은 초등학교에서의 교육이 성인의 교과와 교육방법을 차용할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질적 특성에 맞는 교과와 교육방법을 별도로 모색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피아제가 심리학자로서 인간 심리의 발달단계에 초점을 두었다면, 듀이는 교육학자로서 교육의 발달단계에 초점을 둠으로써 초등교육의 차별적 특성을 안내해주었다. 듀이의 순차적교육(progressive education) 이론은 아동을 직접적인 경험으로부터 출발하여 전문가의 체계적 지식을 담고 있는 경험까지 안내하도록 교과를 조직할 것을 강조한다. 가장 먼저 초등교육에서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를 알고 할 수 있다라는 결과가 나오게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흥미와 관심을 갖고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중등교육에서는 직접경험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풀어내기 위해 간접적인 지식을 활용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그리고 간접경험들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부터 학습의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인들의 고등교육에서는 추상적인 개념들을 활용하여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듀이의 관점을 따르자면 초등교육은 기초적이고 단순화된 내용을 다루는 상위 교육에 대한 낮은 교육으로서의 elementary education이 아니라 독자적인 교과와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primary education이어야 한다. 즉, 교육받은 성인에게 필요한 교과와 그를 가르치기 위한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과를 선정하고 그에 맞는 교육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이에 대하여 내용면에서 초등교육은 학습에 대한 학습으로서 '메타학습'을 전면에 내세워 가르칠 필요가 있다. 교과의 내용을 학습하는 것은 초등교육 이후에 강조되는 것이며, 초등교육에서는 그러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다. 즉, 교과라는 배경 아래 전경에는 학습하는 방법을 가르침으로써 이후의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배우는 보람을 가르쳐야 한다. 오늘날 대한민국 학교교육의 실패로 여겨지는 현상들은 바로 학습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내용지식을 주입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학습의 가치와 학습하기의 역량을 습득하지 못한 채 상급학교로 진학하는 것의 문제점은 암기나 기억에 의존한 교육실패라는 사실로 이미 드러나지 않았는가? 그렇다고 중등교육에서의 메타학습이 덜 중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결코 메타학습과 교과학습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다. 다만 어느 것을 전면에 내세워야 하느냐의 차이가 있다.
앞선 포스팅과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초등교사가 가지는 독특한 전문성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교사의 전문성 요인은 전면적 관계 속에서 가르치므로 교사 자체가 학생들에게 배울 내용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인성적인 측면에서의 전문성이라고 볼 수 있다. 가르칠 내용들을 교사 스스로 받아들이고 녹여낸 것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으로, 이는 초등교사의 교육자로서의 책무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교육과정 그 자체가 아니라 해석된 것이기 때문에, 그리고 수업 내용을 넘어서 교사 자체이기때문에 사상(事象)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아는 것-하는 것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다음으로 초등교사의 전문성 요인은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면에서 초등학생 고유의 특성을 따른 다는 것이다. 이는 전문성의 기술적 측면이다. 초등교사는 직접적인 체험 중심의 내용과 방법을, 그리고 학습에 대한 학습으로서의 메타학습을 가르친다.
-'초등교육의 전문성 3'에서 계속-
참고문헌
엄태동(2004). 초등교육 재개념화의 두 가지 길. 초등교육연구, 17(2), 27-51.
박종덕(2007). 인성교육과 교사의 전문성 : 초등교사의 역할에 주는 시사. 초등교육연구, 20(3), 107-127.
-이 게시물의 모든 내용들에 대하여 링크는 허용하지만 자료의 재배포는 금지합니다!
-게시글에 대한 공감버튼(♥) 클릭과 댓글달기는 언제든 환영합니다^^
#체육수업 노하우 #한선생의 체육잡설 #초등교사 전문성 #초등교육 전문성 #초등교사론 #형식도야론 #관점의 하강 #Piaget #Dewey #순차적교육 #역차적교육 #Primary education
'교육에 대하여 > 교육 고찰: 개념과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이체육비판(4): 산만하고 일회적인 활동으로부터 무엇을 가르칠까?(下) (2) | 2020.12.29 |
---|---|
놀이체육비판(3): 산만하고 일회적인 활동으로부터 무엇을 가르칠까?(中) (0) | 2020.12.28 |
놀이체육비판(2): 산만하고 일회적인 활동으로부터 무엇을 가르칠까?(上) (2) | 2020.12.27 |
[한선생의 체육잡설] 초등교육의 전문성 3 (0) | 2017.04.22 |
[한선생의 체육잡설] 초등교육의 전문성 1 (0) | 2017.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