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
교육에 대하여 WHY를 묻는 삶 :WHAT과 HOW를 넘어서 진정한 행복의 세계로 “지금 이대로도 괜찮지 않아?”, “굳이 바꾸지 않아도 먹고 사는데 지장 없잖아.”주변에서 정말 쉽게 듣는 말입니다. 무사안일한 공동체의 공기는 종종 평온하고 안정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그 안에서 문득 성장의 멈춤, 자기 존재에 대한 무감각, 또는 살아 있음의 기쁨 대신 단지 ‘버팀’을 느끼게 되죠. 안빈낙도에 젖은채, 우리가 잊고 있는 질문이 있습니다. 바로 “왜?”라는 질문입니다. 왜를 묻지 않는 삶, 진정한 자율이 아니다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 1985)은 인간이 내면에서부터 동기화될 때, 즉 스스로 선택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행동할 때 진정한 성장이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이 이론은 인간의 심리적 기본 욕구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
체육일반 [한선생의 체육잡설] 놀이 만들기 수업 가끔은 뜻하지 않은 이유로 계획했던 수업을 하기 어려운 순간들이 있습니다. 체육을 가르치는 선생님들은 이런 상황을 자주 겪는데요. 아마도 공간이라는 매우 중요한 수업환경 요인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한된 실내 체육공간으로 인해 날씨라도 궂으면 잘 준비된 계획도 수포로 돌아가기 일쑤입니다. 저 역시 지난 화요일 비슷한 일을 겪었습니다. 비로 인해 급하게 수업 내용을 교실에서 할 수 있는 것으로 바꿔야 했습니다. 활동지도, 슬라이드도 아침에 급조로 만들어 써야 했어요. 문득 혼자 쓰기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이디어를 나눠봅니다. 사실 제가 수업을 하면서 쓸만한 아이디어가 나오고, 그것들을 자료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유를 잘 안하는 이유는 아이디어 중 핵심적인 일부나 대부분의 것을 가져다 쓰면서 자기..
-
수석교사 한선생 [수석교사 한선생] 놀이는 교육이 될 수 있을까? (5) 이전에 썼던 논문을 토대로, 2024 제7회 유초특 수석교사와 함께하는 수업 페스티벌의 자료집 에 기고했습니다. 이곳 블로그에도 원고를 다섯 조각으로 나누어 포스팅합니다(긴 글을 읽기 부담스러워 하시는데...조삼모사 같긴 합니다만, 나눠 올려봅니다). 놀이가 만능양념장으로 쓰이는 최근의 트렌드에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 있는지 생각해볼 기회가 되길 바라며 독자분들에게 공유합니다. 《 글 순서 》 1. 들어가며 2. 놀이를 깊게 보기 3. 놀이의 교육적 가치 톺아보기 4. 교육의 놀이화가 가진 한계점 5. 맺으며: 교육에 놀이를 더하기 위한 적합한 방안 5. 맺으며: 교육에 놀이를 더하기 위한 적합한 방안 놀이를 교육에 활용한다는 것은 교육적 맥락에서 놀이의 ..
-
수석교사 한선생 [수석교사 한선생] 놀이는 교육이 될 수 있을까? (4) 이전에 썼던 논문을 토대로, 2024 제7회 유초특 수석교사와 함께하는 수업 페스티벌의 자료집 에 기고했습니다. 이곳 블로그에도 원고를 다섯 조각으로 나누어 포스팅합니다(긴 글을 읽기 부담스러워 하시는데...조삼모사 같긴 합니다만, 나눠 올려봅니다). 놀이가 만능양념장으로 쓰이는 최근의 트렌드에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 있는지 생각해볼 기회가 되길 바라며 독자분들에게 공유합니다. 《 글 순서 》 1. 들어가며 2. 놀이를 깊게 보기 3. 놀이의 교육적 가치 톺아보기 4. 교육의 놀이화가 가진 한계점 5. 맺으며: 교육에 놀이를 더하기 위한 적합한 방안 4. 교육의 놀이화가 가진 한계점 놀이를 활용한 교육은 이미 하나의 현상으로 자라잡게 되었다. 특히 놀이 자..
-
수석교사 한선생 [수석교사 한선생] 놀이는 교육이 될 수 있을까? (3) 이전에 썼던 논문을 토대로, 2024 제7회 유초특 수석교사와 함께하는 수업 페스티벌의 자료집 에 기고했습니다. 이곳 블로그에도 원고를 다섯 조각으로 나누어 포스팅합니다(긴 글을 읽기 부담스러워 하시는데...조삼모사 같긴 합니다만, 나눠 올려봅니다). 놀이가 만능양념장으로 쓰이는 최근의 트렌드에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 있는지 생각해볼 기회가 되길 바라며 독자분들에게 공유합니다. 《 글 순서 》 1. 들어가며 2. 놀이를 깊게 보기 3. 놀이의 교육적 가치 톺아보기 4. 교육의 놀이화가 가진 한계점 5. 맺으며: 교육에 놀이를 더하기 위한 적합한 방안 3. 놀이의 교육적 가치 톺아보기 교육과 놀이는 간혹 대비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둘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다..
-
수석교사 한선생 [수석교사 한선생] 놀이는 교육이 될 수 있을까? (2) 이전에 썼던 논문을 토대로, 2024 제7회 유초특 수석교사와 함께하는 수업 페스티벌의 자료집 에 기고했습니다. 이곳 블로그에도 원고를 다섯 조각으로 나누어 포스팅합니다(긴 글을 읽기 부담스러워 하시는데...조삼모사 같긴 합니다만, 나눠 올려봅니다). 놀이가 만능양념장으로 쓰이는 최근의 트렌드에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 있는지 생각해볼 기회가 되길 바라며 독자분들에게 공유합니다. 《 글 순서 》 1. 들어가며 2. 놀이를 깊게 보기 3. 놀이의 교육적 가치 톺아보기 4. 교육의 놀이화가 가진 한계점 5. 맺으며: 교육에 놀이를 더하기 위한 적합한 방안 2. 놀이를 깊게 보기가. 유희와 진지의 양면성 놀이란 인간 존재의 본질을 드러내는 중요한 활동이다.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