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
About Me
체육잡설에 대하여(2025.4.26.기준 블로그 분석, feat ChatGPT)
요즘 ChatGPT로 분석하는 것이 유행인가봅니다. AI와 소통한 수많은 결과물로 사용자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자기도 잘 몰랐던 사고 양식이나 경향성, 내면화된 인성 등을 이해하는 것은 많은 사람에게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얼마 전에 MBTI 검사로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 유행하던 것이 겹쳐보였습니다. 자기보고식 설문지가 아닌, 실제 프롬프트 경향성을 분석하기 때문에 기존의 심리검사지에서 느꼈던 것과는 또 다른 느낌을 줍니다(상호작용의 결과를 토대로 '나'를 분석해달라는 프롬프트는 ChatGPT를 많이 사용하는 분들은 한 번 쯤 해볼만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ChatGPT에게 '나'를 분석해달라고 해보았습니다. 4o에게도 물어보고 4.5에게도 물어보고 o3에게도 물어보며 그 결과를 흥미롭게 ..
-
체육일반
[한선생의 체육잡설] 키즈런 Q&A : 쉽다,편하다,쓸모있다
2025년도 경기도교육청 체육건강교육과의 핵심 사업 중에 하나인 함께런(기지개 체조 + 키즈런)으로 일선 학교에서 다소 혼란이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함께런의 한 축인 키즈런과 관련해 교내 운영을 활성화하고 학교스포츠클럽 대회로 운영하는 권장안에 대해 여러 가지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이 사업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만, 단위학교 입장에서는 매우 좋은 기획이라는 점은 분명합니다 (https://betterthanever123.tistory.com/298) .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키즈런 활성화가 어떤 점에서 좋은 기획인지 체육교과전담교사나 체육업무 담당자의 입장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키즈런, 왜 활성화하고자 하는가? : 선생님들의 체육 수업 연구 부담을 경감하고, 학생들의 신체활..
-
체육일반
[한선생의 체육잡설] 함께런, 그리고 키즈런은 과연 순항할 것인가
#오늘 오후 2시경, 수석교사실 체육부장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평택교육지원청에서 공문 하나가 도착했는데, 상의할 내용이 있다고 한다. 매년 진행되는 교육장배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출전 신청 관련 내용이었지만 올해 달라진 것은 '키즈런'의 도입이었다. 체육부장님과 스포츠강사님 사이에 키즈런에 대한 약간의 대화가 있었던 것 같은데, 이 일을 추진하는 문제에 대해 얼굴을 맞대고 의논을 하자는 것이었다. #지난 주 토요일, 경기학생스포츠센터 그날은 토요일이었다. 우리학교 스포츠강사님과 함께 키즈런과 기지개 체조로 구성된 ‘함께런 프로젝트’ 핵심요원 연수에 다녀왔다. 도교육청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프로젝트였고, 이 연수를 준비한 강사들은 이 사업이 경기도 전역에 확산되길 기대하며 열정적으로 연수를 진행하였다..
-
수석교사 한선생
[수석교사 한선생] 감사일기와 감사쪽지
수석교사로 지내면서 선생님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일이 많습니다. 특히 공적인 대화의 경우 사실상의 컨설팅에 해당하는 경우가 상당합니다. 어제도 세 명의 교사가 참여한 소소한 연수가 있었습니다. 학급 특색과 관련된 자율적인 교육활동 설계에 대한 연수였습니다. 그 중 한 분은 감사일기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학급 특색으로 운영하기에 큰 부담이 없으면서도 그를 통한 긍정적 효과는 교사의 일에 비해 더 커보였습니다. 감사 일기는 학생 스스로 자신의 일상을 돌아보며 긍정적인 순간을 인식하고 표현하게 함으로써 자기인식 능력과 감정 표현력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감정 어휘가 풍부하지 않은 초등학생에게는 특히 유익하며, 일기 작성 과정에서 자기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자연스럽게 길러집니다. 또..
-
교육에 대하여
WHY를 묻는 삶 :WHAT과 HOW를 넘어서 진정한 행복의 세계로
“지금 이대로도 괜찮지 않아?”, “굳이 바꾸지 않아도 먹고 사는데 지장 없잖아.”주변에서 정말 쉽게 듣는 말입니다. 무사안일한 공동체의 공기는 종종 평온하고 안정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그 안에서 문득 성장의 멈춤, 자기 존재에 대한 무감각, 또는 살아 있음의 기쁨 대신 단지 ‘버팀’을 느끼게 되죠. 안빈낙도에 젖은채, 우리가 잊고 있는 질문이 있습니다. 바로 “왜?”라는 질문입니다. 왜를 묻지 않는 삶, 진정한 자율이 아니다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 1985)은 인간이 내면에서부터 동기화될 때, 즉 스스로 선택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행동할 때 진정한 성장이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이 이론은 인간의 심리적 기본 욕구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
체육일반
[한선생의 체육잡설] 놀이 만들기 수업
가끔은 뜻하지 않은 이유로 계획했던 수업을 하기 어려운 순간들이 있습니다. 체육을 가르치는 선생님들은 이런 상황을 자주 겪는데요. 아마도 공간이라는 매우 중요한 수업환경 요인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한된 실내 체육공간으로 인해 날씨라도 궂으면 잘 준비된 계획도 수포로 돌아가기 일쑤입니다. 저 역시 지난 화요일 비슷한 일을 겪었습니다. 비로 인해 급하게 수업 내용을 교실에서 할 수 있는 것으로 바꿔야 했습니다. 활동지도, 슬라이드도 아침에 급조로 만들어 써야 했어요. 문득 혼자 쓰기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이디어를 나눠봅니다. 사실 제가 수업을 하면서 쓸만한 아이디어가 나오고, 그것들을 자료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유를 잘 안하는 이유는 아이디어 중 핵심적인 일부나 대부분의 것을 가져다 쓰면서 자기..